-
자급제폰 vs 통신사폰 비교해보기.돈이되는 정보 2022. 3. 18. 01:00
자급제폰 vs 통신사 폰 비교해보기.
안녕하세요. 집에서 잘 먹고 잘 놀고 싶은 집순이입니다.
이번에는 핸드폰 구매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자급제폰이 보편화되면서 공시 지원금을 받고 폰을 구매하는 방법밖에 없던 예전과는 다르게 선택의 폭이 넓어졌습니다.
자급제폰이란?
통신사와 관계없는 공기계폰입니다. 자급제폰은 출고 휴대폰에 통신사와 관련된 어플이 깔리지 않고 출고된 지 않습니다.
자급제폰의 장점
- 핸드폰의 기본 어플이 심플함. ( 사용하지 않는 통신사 어플이 강제로 깔려있지 않음)
- 알뜰요금제 사용이 가능함.
- 약정의 노예가 되지 않아도 됨.(요금제 약정 이용시 달라질 수 있음)
자급제폰의 단점
- 최초 구입 시 목돈이 들어감 (할부는 가능하나 할부 이자가 붙을 수 있음)
- 셀프 개통을 해야 함
- 통신사 제휴 혜택이 없음 ( 3 사통 신사를 이용할 경우 제휴가 가능함 )
- 결합상품이 없음 ( 3 사통 신사를 이용할 경우 결합이 가능할 수 있음 )
- 보험이 없음 ( 3사통신사를 이용할 경우 결합이 가능할수 있음 )
통신사 폰이란?
일반적으로 구매하는 방법. 통신사 선택 후 관련 대리점이나 직영점에서 구매하는 방법
통신사 폰의 장점
- 공시 지원금을 받을 수 있음. ( 공시지원금의 경우 최신폰이 아닌 경우 할인폭이 큰 경우가 많음 )
- 대리점에서 개통해줌 / 이전 핸드폰의 자료를 새 핸드폰으로 옮기는 작업도 대리점에서 해주는 경우가 많음.
- 통신사, 제휴 혜택을 받을수 있음.
- 결함 상품의 혜택이 가능함.
- 보험 가입이 가능함.
통신사 폰의 단점
- 요금제 선택의 폭이 좁음. 알뜰폰 요금제 사용 불가능.
- 약정기간 중에는 변경이 불가능함.
- 통신사 어플이 출고 폰에 자동으로 깔림.
핸드폰 가격비교
공시가격 SKT KT LG U+ 자급제폰 갤럭시 A32 374,000 기기할인 (일시불) 178,500 - 147,450 248,000 24개월 요금(33요금) 176,000 176,000 176,000 갤럭시 S22 999,900 기기할인 (일시불) 827,400 826,250 929,900 24개월 요금(89요금) 465,300 459,900 489,900 iPhone13 Pro (128G) 1,342,000 기기할인 (일시불) 1,474,000 - 903,200 1,254,850 24개월 요금(89요금) 939,400 802,000 568,000 이통 3사 사이트에서 기기 할인과 24개월 요금 할인을 받을 경우의 가격을 보급형과 최신폰 3개를 비교해 보았습니다.
판매점에서 지원금을 더 받거나 좌표를 찾아 구매할 경우 위의 표보다 더 저렴한 가격으로 구매가 가능할 것입니다.
집순이의 결론.
자급제폰과 통신사 폰의 장단점을 비교해보면 결국은 금액의 합리성 vs 보편적 편리함으로 정리할 수 있을듯합니다.
꼭 어느 것이 더 합리적이라고 이야기 하기는 어렵습니다.
하지만 저처럼 알뜰폰 요금제를 이용할 경우 확실히 약정 없이 저렴한 요금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자급제폰 가격은 어떠한 할인 혜택도 들어있지 않은 가격임으로 만약 알뜰폰 요금제 중 데이터 11G+일 2G를 선택한다면 한 달 통신비는 33,000원으로 이통사 요금 69 요금제 기준 비교해보면( 69,000 - 33,000 ) x 24 = 864,000
할인이 가능합니다.(24개월 요금제 할인과 비교 가능)어떤 선택을 하시던 각자의 리즈를 찾아 합리적인 선택을 하시기 바라겠습니다.
Tip) 자급제폰은 오프라인 대리점 및 온라인에서 모두 일반 가전 제품 구매하듯 구매가 가능합니다.
인터넷으로 구매시 자급제폰과 공기계(통신사지정되어 출시된폰) 를 혼돈하지 마세요.
반응형'돈이되는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년 도약 계좌' 기다려 볼까? (0) 2022.03.21 우리집 수돗물이 찜찜하세요? 수질검사받아보세요!! (0) 2022.03.19 알뜰요금제 알뜰하게 알아보기 (0) 2022.03.17 금리 인상의 시작. 안정적인 적금 금리 알아보기 (0) 2022.03.16 지구도 지키고 돈도 버는 습관 탄소중립실천 포인트 (0) 2022.03.13